매주 목요일, 공연·전시 할인쿠폰이 네이버, 인터파크 등 7개 예매처에서 발급됩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할인 금액 비교, 사용 조건과 주의사항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관하고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함께 운영하는 공연·전시 할인권 2차 배포가 9월 25일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번 할인권은 실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새롭게 변경된 점들이 많아 주의 깊게 확인하셔야 합니다.
할인권은 연말까지 이어지는 공연·전시 성수기를 고려해 12월 31일까지 사용 가능하며, 매주 새로운 할인권이 발급되는 구조입니다. 공연과 전시를 자주 즐기는 분들에게는 경제적인 문화생활의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발급 일정과 요일
- 2025년 9월 25일부터 시작
- 매주 목요일 오후 2시부터 신규 할인권 발급
- 발급받은 할인권의 사용 기한은 다음 주 수요일 자정까지
- 사용하지 않은 할인권은 기간 만료로 자동 소멸
따라서 매주 목요일 오후에 할인권을 챙겨두고, 그 주 안에 예매를 마쳐야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할인권 발급처
공연과 전시 할인권은 우리가 익숙하게 이용하는 아래 7개의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발급됩니다.
- 네이버예약
- 인터파크
- 놀티켓
- 멜론티켓
- 클립서비스
- 타임티켓
- 티켓링크
- 예스24
각 예매처에서 주간 할인쿠폰 페이지를 통해 발급받을 수 있으며, 결제 화면에서 자동 적용됩니다.
수도권 vs 비수도권 할인 비교
이번 2차 할인권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원 금액이 다르게 책정되어 지역에 따라 혜택이 다릅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 10,000원 | 3,000원 | 인당 2매 |
비수도권(그 외 지역) | 15,000원 | 5,000원 | 인당 2매 |
수도권보다 비수도권 지역의 할인 금액이 더 크며, 매주 각자 2매씩 발급 가능합니다. 공연이나 전시 장소 기준으로 할인이 적용되니, 티켓을 예매할 때 지역 구분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할인 적용 조건
할인권은 개별 티켓 가격이 아닌 총 결제 금액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5,000원짜리 티켓 한 장만 구매하면 전시 할인권 3,000원이 적용되지 않지만, 2매 이상 구매하여 총액이 기준을 넘기면 할인이 적용됩니다.
또한 공연의 경우 연극, 뮤지컬, 클래식, 국악, 무용 등 순수예술 장르만 해당되며, 대중음악 콘서트 등은 제외됩니다.
전시는 국공립 및 사립 미술관, 아트페어, 비엔날레 등 시각예술 행사에 적용되며, 산업 박람회 등은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예매 시 유의사항
- 할인권은 매주 1건의 예매에 1매만 사용 가능
- 발급받은 할인권은 유효기간 내 미사용 시 자동 소멸
- 다음 주 목요일 오후 2시에 새로운 할인권이 발급되니 미사용 시 다시 발급받아야 함
- 공연·전시 상품 페이지에 ‘할인 적용 가능’ 문구가 표시된 경우에만 사용 가능
티켓 가격이 부담되어 자주 즐기지 못했던 공연과 전시, 이번 2차 할인권 배포로 조금 더 가볍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특히 비수도권 거주자에게는 더 큰 할인 혜택이 주어지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매주 목요일 오후 2시, 네이버나 인터파크 등에서 공연·전시 할인쿠폰을 꼭 확인해 보시고 원하는 문화생활을 알뜰하게 즐겨보세요.